우연한 걸작

밥 로스에서 매튜 바니까지 예술 중독이 낳은 결실들

원제 The Accidental Masterpiece (On the Art of Life and Vice Versa)

마이클 키멜만 | 옮김 박상미

출판사 세미콜론 | 발행일 2009년 7월 22일 | ISBN 978-89-837-1337-7

패키지 반양장 · 변형판 220x143 · 336쪽 | 가격 17,000원

분야 예술일반

책소개

고흐보다 가슴 찡하고
피카소보다 값지고
모나리자의 미소보다 경이로운 걸작 이야기

이발소 그림의 전도사 밥 로스, 기이한 「크리매스터」의 창조자 매튜 바니,
이 둘의 작품이 동시에 걸작일 수 있는 이유는?
《뉴욕타임스》 수석 미술 비평가 마이클 키멜만이 걸작의 조건을 말한다.

1. 걸작의 조건

“치열하게 사는 것은 인간이 가진 기본적인 욕망이고
예술적인 삶에선 필수적이다.”

걸작은 「모나리자」나 반 고흐, 피카소의 작품들만 말하는 게 아니다. 예술성은 없을지 몰라도 그 어떤 걸작보다 위안이 되는 밥 로스의 풍경화 그리기도, 이름 모를 아마추어가 잘못 찍어서 더 마음을 끄는 사진도, 취미에 중독돼 자기 집 지하실에 세계 최대의 전구 컬렉션을 전시한 치과의사 힉스 씨의 전구들도 걸작이 될 수 있다.

핵심은 아마추어의 진정성, 즉 뭔가를 사랑해서 열정을 쏟아 붓고 진심으로 대하는 것이다. ‘우연한 걸작’이란 그런 중독에 가까운 열정과 헌신이 낳은 결실이고, 우리는 거기에서 경이로움과 아우라를 경험하게 된다. 이 책은 그런 경이로운 걸작들의 사례를 통해 예술이 우리 삶에서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를 살핀 책이다. 그 대상은 예술가일수도 있고 수집가일 수도 있고 막연하게라도 예술가의 꿈을 갖고 있던 우리 자신일 수도 있다.

2. 삶에서 끌어낸 걸작들

“나를 매혹시킨 건 예술 자체보단
예술가의 삶과 그 삶이 내게 의미하는 것이다.”

한 여자에게 중독돼 남들 눈엔 불행해 보이는 관계 속에서 더없이 아름다운 걸작을 만들어 낸 화가 피에르 보나르, 상업적 성공도 화가로서의 명성도 마다하고 10년 이상을 한 작품에 매달려 1톤이 넘은 작품 「장미」를 탄생시킨 제이 드페오, 자살을 택해 죽음마저 작품으로 만든 레이 존슨, 네바다 사막 한 가운데서 1972년에 시작한 작품을 여전히 진행 중인 마이클 하이저, 초창기 남극 원정 때 그야말로 목숨 걸고 걸작 사진을 찍었지만, 기적처럼 살아 돌아와서는 전혀 예술성을 발휘 못했던 프랭크 헐리 등, 때론 극단적이고 때론 기이하지만, 예술과 삶 모두에 치열하고 헌신적이었던 예술가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이렇게 탄생된 최고의 예술은 때로 죽음을 뛰어넘는 것이고 이 점은 예술의 변치 않는 매력이다. 사람들은 자신보다 대단하고 오래가는 뭔가를 경험하기 위해 예술을 향유하기 때문이다.

예술가들뿐만 아니라 평범한 우리들도 걸작을 만들 수 있다. 지즈벤드의 여인들이 일하는 틈틈이 집안의 자투리천을 모아 만든 퀼트(어느 추상미술 작품보다 현대적이고 예술적이고 또 추운 밤엔 따뜻한)처럼 뜻하지 않게 걸작을 만들 수도 있지만, 저자는 창작은 물론이고 수집, 심지어 예술을 감상하는 행위조차 걸작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예술을 염두에 두고 가까이하는 삶 그 자체가 하나의 예술이라는 것이다.
자기 집 지하실에 75000여 점의 세계 최대 규모에 해당하는 전구 컬렉션을 모은 치과 의사 힉스 씨의 열정도 일종의 예술이고 걸작이 될 수 있다. 특별한 열정과 헌신이 담겨 있고, 예술 작품처럼 어떤 사물(여기서는 전구)을 정말 깊이 있게 보게 만들기 때문이다. 간단한 기술만 알면 누구든지 그림을 잘 그릴 수 있다고 말하는 밥 로스의 풍경화는 예술성은 전혀 없을지 몰라도, 평범한 사람들에겐 그보다 더 예술의 몰입 효과와 치유의 힘을 체험할 수 있는 건 없다. 저자가 아마추어 피아노 콩쿠르에서 만난 사람들의 경험담에서 보듯, 예술은 취미일 때조차 마약 중독이나 장애 같은 걸 극복하는 힘이 되어 준다. 스스로를 가꾸고, 자신의 생활을 가꾸고, 늘 깨어 있게 하기 때문이다.

3. 저자가 발로 뛴 현대미술 순례기

예술이 한낱 오락거리나 과시용으로 여겨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삶과 동떨어지고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된 게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이런 문제는 현대미술에서 특히 더하다. 예술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저것도 작품이냐며 화를 내고, 예술에 대해 많이 아는 사람들은 자기와 같은 부류의 사람들을 위해 현학적인 글을 쓴다. 『우연한 걸작』은 분석적이고 냉담해지기 쉬운 현대미술에 따뜻한 시선을 건네고 문학적인 애정과 찬사를 보낸다. 옮긴이 박상미 선생과의 인터뷰에서 밝히고 있듯, 저자는 피아니스트로서 스스로가 예술가이기도 하다. 이 책의 따뜻한 시선은 그런 예술가로서의 경험 때문인데, 그는 몸과 영혼을 모두 작업에 투자하는 예술가들의 헌신적인 태도와 연약함을 누구보다 잘 이해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 책은 저자가 책상머리와 갤러리를 벗어나 걸작들을 직접 찾아 나서고 체험하며 쓴 것이기에 더 의미가 깊다. 저자는 세잔을 따라 생빅투아르 산에 오르고 몇 달 동안 매주 화요일이면 화가 펄스타인의 작업실에 출근하다시피 했으며 대지미술 작품을 찾아 미국 서부의 오지를 몇 시간씩 차를 달려 찾아갔다. 심지어 매튜 바니의 작품을 보러 가서는 물에 빠져 죽을 뻔하기도 한다.

목차

서문
자기만의 세상을 가꾸다 나온 걸작(피에르 보나르와 아내 마르트의 이야기)
‘예술 없음’이 낳은 걸작(아마추어 사진과 밥 로스 이야기)
숭고한 전망을 갖는 걸작(생빅투아르와 방투 산 등정기)
손가락 하나 까딱 않고 만드는 걸작(레이 존슨, 솔 르윗, 오노 요코 이야기)
닥치는 대로 수집하다가 나온 걸작(전구 수집광, 반스 컬렉션, 분더캄머 이야기)
죽음을 물리치고 인생을 구원한 걸작(제이 드페오, 에바 헤세, 샬로트 살로몬 이야기)
재난을 최대한 활용한 걸작(프랭크 헐리 이야기)
벗은 몸을 바라보는 일과에서 나온 걸작(펄스타인 작업실 탐방기)
감상하려면 여행이 필요한 걸작(대지미술 순례기)
일상의 사소한 즐거움과 기억을 불러내는 걸작(샤르댕과 웨인 티보 이야기)
감사의 글

옮긴이 후기 – 친절한 키멜만 씨
마이클 키멜만과의 인터뷰
참고 문헌
찾아보기

작가 소개

마이클 키멜만

예일대에서 사학을, 하버드 대학에서 미술사를 공부했고 《뉴욕 타임스》의 수석 미술 비평가로 일하고 있다. 원래 신문에 음악 평론을 쓰다가 미술 평론으로 전향했으며 2000년 퓰리처 상(평론 분야)에 노미네이트되기도 했다. 그의 저서 『미술관에서 만난 예술가들(Portraits: Talking with Artists at the Met, the Modern, the Louvre and Elsewhere)』(1998)은 《뉴욕 타임스》와 《워싱턴 포스트》에서 올해의 주목할 만한 책에 선정되었다. 피아니스트이기도 한 그는 피아노를 그만두었다가 1998년부터 다시 시작해 연주회를 열고 있다. 현재 베를린에 체류하면서 《뉴욕 타임스》에 「해외에서」라는 칼럼을 쓰고 있다.

박상미 옮김

연세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했다. 1996년 뉴욕으로 옮겨 뉴욕 시립대에서 미술사학을, 뉴욕 스튜디오 스쿨, 이탈리아 움브리아 아트 스쿨에서 미술을 공부했다. 현재 뉴욕 브루클린 윌리엄스버그에서 남편과 고양이 노마와 함께 살고 있다. 패션 컨설턴트로 활동했고, 현재 작업, 저술 및 번역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저서로  『뉴요커』와 『취향』, 번역서로 『이름 뒤에 숨은 사랑』, 『앤디 워홀 손안에 넣기』, 『빈방의 빛』,  『미술탐험』 『여성과 미술』 등이 있다.

독자 리뷰